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속의 순위와 상속 방법

by 金동이 2023. 8. 12.

상속(피상속인의 사망)이 발생하게 되면 피상속인의 재산이 상속인에게 재산상 권리, 의무 일체가 포괄적으로 승계가 됩니다. 이때 피상속인의 가족들이 서로 재산을 갖겠다고 주장하며 다툼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속이 발생한 경우 법에서 그 순서를 정하고 있고 어떻게 상속을 할 것인지도 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상속이 발생한 경우 상속의 순위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상속재산-상속

 

1. 상속의 순위

(1) 1순위 : 직계비속(태아 포함) + 피상속인의 배우자

(2) 2순위 : 직계존속 + 피상속인의 배우자

(3) 3순위 : 형제자매 (1,2순위 모두 없는 경우에 한정)

(4) 4순위 : 4촌 이내의 방계혈족 (1,2,3순위 모두 없는 경우에 한정)

(5) 5순위 : 특별연고자* (예: 사실혼 관계에 있는 자, 가정부, 후원단체 등)

*특별연고자 : 상속인이 없을 때 공고일부터 2개월 이내에 가정법원에서 특별연고자의 청구에 따라 분여 할 수 있습니다.

 

2. 상속분

상속재산을 얼마만큼씩 분배할 것인지에 대한 것으로 지정상속분, 협의분할, 법정상속분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 세 가지 개념 중 지정상속분이 가장 우선하며 그다음이 협의분할, 앞의 두 가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법정상속분에 의해 상속이 이루어지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지정상속분

: 유류분 한도 내 유증(피상속인의 유언에 따른 상속), 사인증여(증여자의 사망으로 인하여 효력이 생길 증여) 등

(2) 협의분할

: 상속재산은 상속인의 공유재산이므로 법정상속분에 우선하여 상속인들간 협의에 의해 분할할 수 있습니다. 협의분할은 상속개시 당시로 소급하여 효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이러한 협의분할은 그 시기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다만, 상속재산을 협의분할 한 후 다시 협의분할하는 경우 증여세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법정상속분

: 지정상속분이 없을 때 법률에 따른 상속분을 말하는데 각자 균등하게 배분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피상속인의 배우자는 50%가 가산됩니다. 예를 들어 아들 1, 아들 2,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있는 경우 아들 1 : 아들 2 : 피상속인의 배우자 = 1 : 1 : 1.5의 비율로 상속을 받게 됩니다.

 

3. 상속의 방법

(1) 단순승인

: 재산상 권리, 의무의 당연한 승계를 말하며 이에 따른 상속에는 특별한 절차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2) 한정승인

: 상속에 따라 취득한 재산의 범위 내에서 피상속인의 채무와 유증을 변제하기로 유보하여 승인하는 것을 말하는데 상속인은 상속개시가 있음을 안 날(피상속인의 사망사실과 상속인 자기가 상속인이 된 사실을 인식한 날)로부터 3월 이내에 가정법원에 한정승인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속인은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하는 사실을 중대한 과실 없이 3월 이내에 알지 못하고 단순승인을 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안 날부터 3월 이내에 한정승인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정승인을 한다고 하여 피상속인에 대한 상속인의 재산상 권리의무가 소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상속자산이 5억, 상속부채가 10억이 있는 경우 상속자산 5억의 범위 내에서 상속부채 5억을 승계하는 것입니다.

(3) 상속의 포기

: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권리, 의무를 상속받는 것을 전면포기 할 수 있는데 상속을 포기하려고 하는 경우 상속개시가 있음을 안 날로부터 3월 이내에 법원에 상속포기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속포기가 상속세 회피 수단으로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속포기자도 상속세 납세의무자로 지정됩니다.

(4) 유류분 청구

: 유증, 사인증여 등에도 불구하고 법적으로 보장해주는 최소한의 상속분을 말하는데 유류분권자도 상속인에 해당합니다.

① 직계비속 : 법정상속분의 1/2

② 배우자 : 법정상속분의 1/2

③ 직계존속 : 법정상속분의 1/3

④ 형제자매 : 법정상속분의 1/3

 

피상속인이 사망하는 경우 상속이 개시된다고 표현하는데 이때 상속재산을 누가 받을 수 있으며 어떻게,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를 민법과 상속세법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러한 법에서 정한 상속의 순위와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세법과 관련한 다른 주제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